PDF 자료 공유 : POA (입원시 상병)

폰트 : 온글잎 림체

? POA (Present on admission) 종류

코드

정의

Y(Yes)

해당 상병이 입원 당시부터 존재함

N(No)

해당 상병이 입원 당시에 존재하지 않음

U(Unknown)

해당 상병이 입원 당시에 존재하였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기록이 충분하지 못함

W

해당 상병이 입원 당시에 존재하였는지를 의료제공자가 임상적으로 결정 할 수 없음

E

POA 예외 진단코드

? POA (Present on admission) 제외 코드

구분

대상질환

후유증

B90-B94: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의 후유증

E64 : 영양실조 및 기타 영양결핍의 후유증

E68 : 과영양의 후유증

G09 : 중추신경계통의 염증성 질환의 후유증

G14 : 소아마비증후군

I25.2 : 오래된 심근경색증

I69 : 뇌혈관질환의 후유증

O94 : 임신, 출산 및 산후기 합병증의 후유증

O98 : 산과적 원인의 후유증에 의한 사망

T90-T98 : 손상, 중독 및 외인의 기타 결과의 후유증

임신 및 분만

O30 : 다태 임신

O66.5 : 집게 또는 흡입분만의 실패 후 제왕절개분만

O80 : 단일 자연분만

출생전후기에 기원한 특정병태

P00-P08 : 산모의 합병증 및 임신기간에 의해 영향을 받은 태아 및 신생아

P25-P29 : 출생전후기에 특이한 호흡기 및 심혈관 장애

선천성 기형

Q00-Q99 : 선천기형, 변형 및 염색체 이상

Q90.1 : 가족성 자율신경기능이상 (라일리-데이)

질병 이환 및 사망의 외인

V01 - Y98 : 의료기관이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음

건강상태 및 보건서비스 접촉에 영향을 주는 요인

Z00 - Z99

? POA란 Present on admission의 약자로,

입원시 상병을 뜻하는데요 !!

꼭 알아둬야 할 개념 중 하나이니, 참고하세용